[DMS2025]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 혁신 트렌드

DMS2025의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 혁신 트렌드’ 라는 주제로 조명훈 (아카브린 대표), 최돈현(Soy.lab 대표), 권한솔(스튜디오 프리윌루전) 대담 내용을 정리했다. 이번 세션은 조명훈 아카브릭 대표의 모더레이션 아래, 생성형 AI 기술의 현주소와 콘텐츠 제작 방식의 변화, 제작 한계, 그리고 브랜드가 준비해야 할 마인드셋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로 진행되었다.



먼저, 생성형 AI의 기술 수준과 활용 범위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생성형 AI는 이제 단순한 이미지나 텍스트를 넘어, 사람의 얼굴 표정과 몸의 움직임까지 사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기술 발전 속도 또한 매우 빠르며, 2025년을 기점으로 AI는 단순한 실험을 넘어 마케팅과 다양한 실무 영역에 실제로 접목되는 수준까지 진화하고 있다. 이미 대기업과 공공기관에서도 생성형 AI를 활용해 CF 광고 영상까지 제작하고 있으다. 특히 마케팅 소재를 만들 때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AI 콘텐츠 제작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콘텐츠 제작 방식의 변화가 조명되었다. AI의 활용은 단지 기술을 대체하는 수준을 넘어, 콘텐츠 기획과 아이디어 발상 자체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예를 들어, ‘립스틱’이라는 소재에 대해 기존 남성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특성을 ‘총알’이라는 이미지와 결합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는 프롬프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 기술을 통해 브랜드 메시지를 새로운 방식으로 전달하는 시도였다. 또한 AI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에서는 숏폼 콘텐츠부터 첩보물 형태의 영상까지, 인물 간의 연결성과 이야기성을 강화한 콘텐츠 기획이 가능해졌다. 무엇보다 브랜드의 결에 맞는 모델을 활용하여, 더 정밀하고 몰입도 높은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하지만 AI 기반 콘텐츠 제작에는 여전히 현실적인 어려움과 한계가 존재한다. 제작 프로세스의 구조화 경험은 많지만, 비용 조정이나 품질 관리 측면에서는 여전히 도전이 따른다. 특히 딥러닝 기반 이미지 처리 과정이나 미디어 비평적 시각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 감성적 연결, 즉 예술성과 의미 전달력이 결합되어야 진정한 콘텐츠가 완성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AI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된 시대에는, 기술을 활용하는 감각과 본질을 파악하는 통찰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나 광고주를 설득하는 과정, 커머스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퀄리티 컨트롤, 지속적인 기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 업데이트 등이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따라서 단순한 지시 방식보다는, 교육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협업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제안도 함께 나왔다.

마지막으로 브랜드가 갖춰야 할 마인드셋에 대해서는 “일어날 일은 반드시 일어난다”며, 생성형 AI의 흐름은 더 이상 막을 수 없고, 우리 삶 속으로 이미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제는 AI를 두려워하거나 방관할 시간이 없다.

2025년부터는 준비가 아닌 실행의 시간이며, 브랜드가 경쟁력을 갖추려면 기술에 대한 이해도와 실질적인 실행력을 함께 갖춰야 한다. 특히, AI 콘텐츠 시대에는 무작위성과 랜덤한 생성 방식 자체가 창의성을 자극하는 요소가 되며, 기업은 콘텐츠 제작에 대한 인식부터 바꿔야 한다 라고 강조했다.

관련내용정리:디지털이니셔티브 그룹 김형택 대표

AI마케팅 교육이 필요하신가요?

AI마케팅시장조사, 전략추진, 캠페인 기획, 제작물구성, 효과측정까지
마케팅 전과정을 AI연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Similar Articles

 

AI마케팅 인사이트 NewsLetter

AI마케팅 전략, 기획, 캠페인사례, 활용방법 등
최신 AI마케팅 인사이트 정보를
뉴스레터(News Letter)로 전달해 드립니다.
지금 AI마케팅이 필요하다면 구독해주세요!!

주목할만한 Article

error: Content is protected !!